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익산상공회의소

대한상의보도자료

대한상의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새로운 성장’ 시리즈(6) 한일 관광협력 경제효과 분석 보고서
담당부서 산업정책팀 작성일 2025.07.30
첨부파일

‘한일판 솅겐 조약만으로 180만 외국인 관광객 더 온다’


- 대한상의 새로운 성장 시리즈(6) 한일 단일 관광비자 체결시, 4만3천 일자리 기대
- 한일 관광패키지化 제언 ... ① 공동 관광상품 개발 ② 외국인에 단일 비자 ③ AI 관광 플랫폼
- “관광, 의료 등에서의 한일 샌드박스 협력” 담은 ‘새로운 성장’ 시리즈, 니혼게이자이 신문 집중조명

한․일판‘솅겐 조약’만으로 최대 184만명의 해외 관광객을 한국에 더 유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29일‘새로운 성장 시리즈(6) 한일 관광협력 경제효과 분석’보고서를 통해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한일 상호 단일 관광비자 조약만으로도 한국의 관광수입은 최대 18억 5천만달러 증가한다”며 ① 한일 공동 관광 상품 개발 ② 한일판 솅겐조약 ③ AI 한일 관광 플랫폼 구축 등을 제언했다. 솅겐조약은 EU 회원국간 단일 비자 등에 대한 협정으로 1985년 룩셈부르크 솅겐에서 체결됐다.





김형종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박사와 발간한 보고서는 ‘지금 ASEAN은 국가간 단일 비자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아세안식 솅겐 조약을 협의중’이라며 이들의 유입 예측 모형을 바탕으로 예측되는 ‘한일 단일비자의 한국쪽 추가 관광객’은 최대 184만명, 관광수입은 최대 18억 5천만달러에 이른다는 것이다. 일자리는 4만3천개, 생산유발효과는 6조5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해외 관광객 1명의 1인당 소비지출은 대략 1323.8달러(2024년)이다. 이중 식음료나 쇼핑은 470달러, 숙박비 304달러, 문화서비스 160달러, 의료서비스 지출 50달러이다. 관광산업이 단순 상품 구매 뿐 아니라 문화, 의료 등 서비스 산업 전반에 부가가치를 유발하고 있어 협력규모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큰 산업이다.

특히,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은 모두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관광산업에 투입할 수 있는 자원이 제한적”이라며“양국 모두 보다 효과적인 외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 수립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뿐 아니라 최근 외국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양국의 문화서비스, 세계최고 수준의 양국 디지털 전략들을 연계한 관광상품을 개발하면 한·일 관광협력으로 양국 모두 큰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상의 제언 ① 공동 관광 상품 개발 ② 외국인에 한일 단일 비자 ③ AI 한일 관광플랫폼

대한상의는 실질적인 한․일 관광 협력 방안으로 공동 관광전략 수립, 외국 관광객에 한일 단일비자, AI 한일 관광 플랫폼 등을 제안했다.



먼저 싱가포르-말레이시아, 홍콩-마카오와 같은 인접 국가 간 연계 관광 사례를 참고하여, 양국 관광공사를 중심으로 공동 관광 상품 개발 및 마케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며 “한․일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연계 상품을 개발하고, 양국 역사 문화유산 연계 콘텐츠와 같은 특화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둘째로, 비자·전자여행허가(K-ETA) 등 복잡한 입국 절차가 관광 유치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만큼, 한국 또는 일본 비자를 보유한 제3국 국민에 대한 상호 무비자 입국 허용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은 비자 및 K-ETA를 적용받는 중국, 동남아시아(필리핀, 베트남, 태국 등) 관광객의 비중이 40.3%에 달한다.

마지막은 AI 한일 관광 플랫폼 개발이다. 한일 양국을 연계해 여행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 디지털 지불결제 시스템 공동화 ▲ AI 활용한 금융, 교통, 문화 서비스 공동 지원 ▲ 한·일 지방 항공노선 및 교통편 확충 등을 통해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최근 발간한 ‘새로운 질서, 새로운 성장’ 책자에서 ‘관광은 쉽게 손을 맞잡을 수 있는 분야’라며 장기적으로 한국내 일본 빌리지, 일본내 한국 빌리지 아이디어까지 제시한 바 있다. 이같은 아이디어는 24일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日本経済新聞)에도 집중 보도됐다. 신문은 ‘대한상의는 동 책자를 통해 한일 양국의 국내총생산을 합치면 6조 달러 규모의 경제권이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통상 리스크가 높아진 상황에서 한일은 단독으로 위기극복에 한계가 있다. 비자절차 간소화를 통해 기술 인재의 왕래를 촉진하는 메가 샌드박스 아이디어도 제시했다’고 썼다.

이전글, 다음글
새로운 성장 시리즈(7) 제조현장 규제 합리화 건의서
‘새로운 성장’ 시리즈(6) 한일 관광협력 경제효과 분석 보고서
벤처투자시장 현황과 정책과제 연구

익산상공회의소

(우)54620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인북로 187 (남중동) 익산상공회의소

Copyright (c) 2017 iksancci, All Right Reserved.